Technical professional in bio/pharmaceutical R&D with broad experience in process development, CMC, cGMP, PAT, QbD, bio/chemical engineering technology, scale-up, and manufacturing, spanning from preclinical programs to NDA/BLA/commercialization.
“한미약품은 2009년 고혈압치료 복합신약 ‘아모잘탄’을 출시하며 한국 제약산업에 ‘복합신약’ 시대를 활짝 열었고, 이제 4가지 성분을 결합한 4제 복합신약 허가를 받으면서 글로벌 경쟁력을 다시 한 번 입증했습니다.”
권세창 한미약품 신약 개발부문 총괄 대표이사 사장이 누구도 정복하지 못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치료제 개발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한미가족 여러분,오늘 우리는 대한민국 제약바이오산업의 거인이셨던,
임성기 회장님께서 떠나시는 마지막 길에 함께 하고 있습니다.
회장님!‘후회막급’이라는 표현이 이렇듯 절절한 느낌으로 제 가슴을 때릴 줄 몰랐습니다.
회장님께서 영면의 길에 접어든 그 시각, 회장님의 소천을 알리는 전화를 받던 그 순간, 그래서 저의 억장이 무너져 도저히 잠 못 이루던 그날 밤.
임종윤 한미사이언스 대표가 한미약품그룹의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청사진 마련에 앞장서고 있다. 임 대표는 최근 임원회의에서 한미사이언스의 6대 비전을 제시하면서 변화와 혁신을 강조했다. 혁신 없이는 성장도 불가능하다는 철학으로 한미약품그룹을 글로벌 바이오 기업으로 도약시키겠다는 목표를 내세웠다.
한미약품그룹이 제약바이오 산업의 양축을 담당하는 협회를 석권했다.
작년 1월 한미약품그룹의 지주회사 한미사이언스 임종윤 대표(48)가 한국바이오협회 이사장으로 선임된 데 이어, 한미약품 이관순 부회장(61)이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이사장직까지 석권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원희목)는 12일 오전 서울 방배동 제약회관에서 제2차 이사장단 회의를 열고 이관순 한미약품 부회장을 임기 2년의 제14대 이사장으로 임명했다고 밝혔다.
임종윤 한미사이언스 대표가 한미약품그룹의 신성장 동력을 찾기 위해 최근 중국 굴지의 기업들을 찾아 사업 협력을 논의했다. 이 달 초엔 이탈리아 최대 의료기관에도 방문하는 등 기존 신약개발 틀을 벗어난 맞춤형 치료와 건강검진 시스템 확대로까지 사업 저변을 넓히기 위한 초석을 마련했다.
한미약품에는 사장이 두 명이다. 우종수 경영관리부문 사장과 권세창 신약개발부문 사장이다. 개량신약 개발에 기여한 우 사장이 한미약품의 현재를 만들었다면 바이오신약 개발을 주도하는 권 사장은 미래를 만드는 사람이다. 권 사장이 손을 대는 신약 후보물질(파이프라인)마다 한미약품의 미래가 됐다.
한미약품 그룹 계열사 코리(COREE)가 지난 15일, 중국의 가장 권위있는 의료기관인 북경협화병원(Peking Union Medical College Hospital)의 의학 재단과 함께 ‘대사성 질환 예방 전문 기금' 설립에 대한 협약식을 체결했다.
한미사이언스 관계사 코리(Coree)가 생활습관 교정부터 질병 예측까지 가능한 자체 플랫폼 '라이프 인터벤션'의 미국 시장 진출을 추진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의료용 소프트웨어(SaMD•Software as Medical Device)로 품목허가를 받는 게 목표다.
한미약품은 R&D 중심의 종합 제약회사다. 매출 1조원의 한국을 대표하는 제약사로 성장했다.
한미약품의 주력은 전문 의약품이지만 한미약품의 이름을 알린 것은 개량 신약이다. 특히 발기부전 치료제 시장에서 독보적인 처방 매출 1,2 위 제품이 '구구'와 '팔팔'이다. 팔팔은 비아그라(성분명 실데라필)의 제네릭(복제약)이며, 구구는 시알리스(성분명 타다라필)의 제네릭이다.
2019년 기해년 황금 돼지해 창간 20주년을 맞아 CEONEWS가 '대한민국 리딩 TOP CEO'를 선정합니다. 이번 선정을 통해 국가 경제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는 CEO들의 명예와 자존감을 앙양하고 그들의 업적과 노고를 치하하고 CEO PI의 본보기로 삼고자 합니다.
한국바이오협회 이사장으로 활동 중인 임종윤 한미사이언스 대표이사가 최근 '공매도 금지'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나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김수진 전무는 20년 간 미국 BMS, 베링거인겔하임 개발센터에서 케미칼 CMC 분야를 개발해온 생산 전문가다. 한미약품이 사노피, 베링거인겔하임, 얀센 등과 잇따른 글로벌 딜을 성사시켰던 2015년, 임성기 회장은 미국에서 김 전무를 만나 임원직을 제의했고 바이오신약 생산 구원투수로 그를 영입했다.
김 전무의 첫 과제는 최적화된 랩스커버리 제품 공정을 개발하는 일이었다. 랩스커버리는 약효 지속 기간을 늘려주는 한미약품의 자체 플랫폼 기술이다. 또 바이오플랜트 2공장 설립을 마무리 지은 것도 그의 역할이 컸다.
김 전무는 "랩스커버리 제품은 한미의 독자적 제조 노하우가 필요해 특정 시설에서만 생산이 가능하다"며 "이를 위해 한미가 바이오플랜트를 크게 증설했고, 더 많은 종류의 제품을 우리 공장에서 생산할수록 수익성 면에서 한미는 물론 파트너 업체도 이득이 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김수진 (SOOJIN KIM)
Technical professional in bio/pharmaceutical R&D with broad experience in process development, CMC, cGMP, PAT, QbD, bio/chemical engineering technology, scale-up, and manufacturing, spanning from preclinical programs to NDA/BLA/commercialization. 20 years leadership experiences in developing people and building expert technology groups as well as managing cross-functional project teams and multicultural/international collaborations. Track record of developing innovative solutions for drug substance manufacture leading to major process impact and successful commercial processes.
김수진 한미약품 바이오플랜트 총괄 전무
EXPERIENCES
한미약품㈜ Seoul, Korea (2015 – present) 전무이사 / Head of Bio Plant 바이오 제조개발 & 생산 (바이오플랜트) 총괄
상무이사 바이오신약 제조 개발 총괄 (2015 – 2016) 바이오의약품 개발 전반의 CMC Development (제조개발) 와 생산 총괄. 다국적 big pharma 회사와 개발 협업 중인 Lapscovery projects와 Teva 사와 협업 중인 관절염 치료제 Hyaluronic Acid 등 바이오 의약품의 제조 개발과 CMC Regulatory Affairs, Production, and commercialization 책임
EDUCATION
Ph.D. Chemical Engineering (1994)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Pasadena, CA Thesis: Chemical Vapor Deposition of Permselective Oxide Membranes for Hydrogen Separation
M.S. Chemical Engineering (1990)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Pasadena, CA
B.S. Chemical Engineering, with Distinction (1988) Cornell University, Ithaca, NY
Graduate Research, with Professor George R. Gavalas (Caltech) (1989 – 1994)
Undergraduate Research, with Professor Paul H. Steen (Cornell) (1987 – 1988)
Co-op Experience,Nordson Corporation, Westlake, OH (1986)
SELECT PRESENTATIONS
매일경제 기사 보도 ‘年10억회분 거뜬…코로나백신 위탁생산 전초기지 될 것’ https://mk.co.kr/news/it/view/2020/11/1215177/
“Overcoming Challenges of CMC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for Innovator Drugs, Invited presentation, The 7th Global Pharmaceutical Key Opinion Leaders International Symposium, Seoul Korea (2018)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of Innovator Biologics from Hanmi's Platform Technology, Invited presentation, 7th Biologics Manufacturing Korea, Seoul Korea (2018)
“Overview of Bio/Pharmaceutical Process Development & Production: Growing Opportunities for Chemical Engineers,” Invited presentation, Chemical & Biological Engineering Department Seminar, 서울 대학교 (2016), Chemical & Environmental Engineering Department Seminar, 이화여자 대학교 (2017), Chemical & Biological Engineering Department Seminar, 포항 공과 대학교 (2020)
“의약품 설계기반 품질 고도화(QbD)교육: 해외 기업의 QbD 도입 사례,” Invited presentation 충청권 산학협력중개센터 산업체 재직자 교육 (2016)
“신약 원료 의약품의 견고한 CMC 개발 전략,” Invited presentation, Korea Drug Research Association API Research Workshop (2016)
“Salt Formation of Pharmaceutical compounds and Associated Genotoxic Risks,” S. Kim, Book Chapter in Pharmaceutical Industry Practices on Genotoxic Impurities; H. Lee, Ed.; CRC Press, pp 385-426 (2014).
“Control of API Particle Properties by Crystallization Engineering and PAT: Case Studies,” Invited presentation, Scientific Update 11th Polymorphism & Crystallisation Conference (2014)
“Solid State Properties in Drug Development,” Lecture at University of Connecticut, Boehringer Ingelheim Lecture Series (2014)
“Control of Particles and Bulk Properties of Drug Substances by the Control of Crystallization Kinetics and Process Analytical Technology,” Invited panel lecture, International Workshop on Industrial and Pharmaceutical Crystallization, Hanbat University, South Korea (2012)
“Crystallization of Pharmaceutical Compounds and the Control of API Solid State Properties,” Invited keynote lecture, Korea Drug Research Association Symposium, Seoul, Korea (2011)
“Particle Engineering via the Control of Crystallization Kinetics and Monitoring by FBRM,” Invited keynote lecture, 17th International Process Development Conference by Mettler Toledo (2010)
“A Case Study of Crystallization Development for a Drug Substance with Robust control of Polymorph, Particle Morphology and Bulk Powder Properties,” Invited talk,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and Exhibition, Polymorphism and Crystallization by Scientific Update (2010)
“Control of the Particle Properties of a Drug Substance by Crystallization Engineering and the Effect on Drug Product Formulation” S. Kim, B. Lotz, M. Lindrud, K. Girard, T. Moore, K. Nagarajan, M. Alvarez, T. Lee, F. Nikfar, M. Davidovich,
S. Srivastava, S. Kiang, 5th World Congress on Particle Technology, AIChE (2006)
“Innovation: Moving from Pipeline to Patients—Drug Substance final step isolation and pharmaceutical Engineering,” BMS Media tour and presentation (2006)
“Crystallization Process Development for Pharmaceutical Compounds” Kim, S. Invited keynote lecture at the Mid- Atlantic section meeting of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Crystal Growth (2004)
“Crystallization, filtration and Drying of an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 and the Effect on formulation and Drug Product Performance,” S. Kim, invited panel speaker at 11th International Workshop on Industrial Crystallization, Gyeongju, Korea (2004)
“PAT use of Lasentec for Monitoring Particle Size during Crystallization: Atazanavir as an Example,” Soojin Kim, invited presentation at FDA meeting between BMS and FDA CDER team, Rockville, MD (2003)
“Particle Size and Habit Tailoring via Crystallization for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s” Kim, S.; Wei, C.; Kiang,
S. 6th International Workshop on the Crystal Growth of Organic Materials, Glasgow, UK (2003)
“Drug Substance final step isolation and pharmaceutical Engineering,” BMS tour and presentation for FDA reviewers industrial training (2003)
“Crystallization Development and Particle Engineering of an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 S. Kim, 15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dustrial Crystallization, Sorrento, Italy (2002).
“Crystallization and Particles Technology in the Process Development of a BMS Compound” Kim, S.; Wei, C.; Kiang, S. Symposium on Crystal Engineering to Crystal Growth: Design and Function, 223rd ACS National Meeting (2002)
“Crystallization and Particles Technology in the Process Development of a BMS Compound,” S. Kim, Presentation at Industrial Associates Program, Princeton University (2002)
“Adhesion of Molecularly Engineered Surfaces: A Study Using Contact Mechanics Method” Kim, S. Invited talk at the First Annual Workshop on Polymers at Interfaces, NSF MRSEC, Polytechnic University (1997)
“The Effect of Chemical Functionality on Adhesion Hysteresis” Kim, S.; Choi, G. Y.; Nezaj, J.; Ulman, A.; Fleischer, C. Materials Research Society Symposium, Hilton Head, SC (1997)
“Thermodynamic Properties of Supersaturated Solution and Their Use in Determination of Crystal Growth Kinetic parameters” Kim, S.; Myerson, A. S. 3rd International Workshop on the Crystal Growth of Organic Materials, Washington, DC (1995)
“TiO2 Permselective Membranes” Kim, S.; Gavalas, G. R. AIChE Annual Meeting (1991)
AWARDS
• President’s Award, Pharmaceutical Research Institute, Bristol-Myers Squibb (2000) • Process R&D Award, Bristol-Myers Squibb Company (2002) • Triumph Discovery Operating Committee Award, Bristol-Myers Squibb (2005) • Process R&D Award, Bristol-Myers Squibb Company (2006) • Star Awards, Pharmaceutical Research Institute, Bristol-Myers Squibb (2004, 2005, 2006) • Champion Awards, Boehringer Ingelheim (2008, 2009) • Team Spirit Awards, Boehringer Ingelheim (2008, 2009) • Excellence in Action Awards, Boehringer Ingelheim (2012, 2013) • 대통령 표창, 제 46 회 상공의날 훈격, 국가 산업 발전 이바지 공로
“한미약품은 2009년 고혈압치료 복합신약 ‘아모잘탄’을 출시하며 한국 제약산업에 ‘복합신약’ 시대를 활짝 열었고, 이제 4가지 성분을 결합한 4제 복합신약 허가를 받으면서 글로벌 경쟁력을 다시 한 번 입증했습니다.”
한미약품 대표이사 우종수 사장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한미약품의 우수한 제제기술이 4제 복합신약 허가로 이어졌다.
한미약품은 최근 식약처로부터 고혈압치료 성분 2가지와 이상지질혈증치료 성분 2가지를 결합한 4제 복합신약 ‘아모잘탄엑스큐’를 허가받았다. 2009년 2가지 성분의 고혈압 치료제를 결합한 ‘아모잘탄’을 시작으로, 3가지 성분 결합에 이어 4가지 성분의 복합신약 개발까지 성공적으로 마쳤다.
의약품의 성분 결합은 단순하지 않다. 한미약품은 각 성분 간의 상호작용을 최소화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약물 크기를 작게 만드는 등의 독자적이고 창의적인 제제기술을 십수년간 축적해 왔다. 각 성분마다 체내에서 흡수, 또는 약효를 발현하는 기전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한 알의 정제 또는 캡슐에 담기 위해서는 최적의 혁신 제제기술이 적용돼야 한다.
한미약품 김나영 상무(개발•허가 담당)는 “두 가지 이상 성분을 결합해 제조하는 복합제는 환자들이 복용해야 하는 약물 숫자를 줄여 편의성을 높이고 치료 효과를 극대화해, 단일제 여러 개를 복용하는 것보다 건강보험 재정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면서 “한미약품은 십수년간 축적해 온 독창적 제제기술을 토대로 다양한 복합신약을 선보이며 의약품 시장의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인류 평균 수명이 길어지고 고령화 추세가 가속화되면서 여러 개의 치료 성분을 한 알에 결합하는 복합신약은 새로운 의약품 시장을 창출하고 있다. 실제 한미약품이 개발한 복합신약 ‘아모잘탄’과 ‘로수젯’은 미국 MSD를 통해 세계 주요 국가에 수출되고 있다.
이상지질혈증 치료 성분 2가지를 결합한 한미약품의 ‘로수젯’은 올해 3분기까지 727억원의 매출(유비스트 기준)을 달성, 올 한 해 1000억원대 매출이 예상된다.
한미약품은 이번 아모잘탄엑스큐를 포함한 아모잘탄패밀리와 로수젯 외에도 다양한 제제기술이 함축돼 있는 복합신약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하나의 캡슐에 2종 이상 성분을 분리된 제형으로 담아내는 ‘폴리캡’ 기술, 의약품 겉면을 여러 겹으로 코팅해 각 약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방출 시간을 조절하는 ‘다층코팅’도 한미약품만의 독보적 제제기술이다.
폴리캡 기술이 적용된 복합신약으로는 골다공증 치료 성분과 비타민D를 합친 '라본디', 천식 동반 알레르기 비염 치료 복합제 '몬테리진' 등이 있으며, 이들 제품 모두 연매출 100억원 대에 이르는 대형 품목으로 성장했다. 다층코팅 기술이 적용된 진통소염제 ‘낙소졸’은 정제 겉면을 6겹으로 코팅해 약이 위를 지날 때는 위 보호성분이 배출되고, 장을 지날 때는 진통성분이 나오게 설계됐다.
한미약품의 독보적 제제기술은 혁신신약 개발로도 이어지고 있다. 바이오의약품의 약효 지속시간을 늘려주는 한미 고유 플랫폼 기술 ‘랩스커버리’는 한미약품 혁신신약 개발의 중심에 있는 핵심 기술이다.
주사용 항암제를 경구용으로 변환할 수 있는 한미의 독자 플랫폼 기술 ‘오라스커버리’가 적용된 오락솔은 미국 아테넥스사에 기술수출돼, 현재 임상을 끝내고 미국 시판허가 절차를 밟고 있다. 한미약품은 면역항암 효과와 표적항암 효과를 동시에 이끌어내는 플랫폼 기술 ‘팬텀바디’도 보유하고 있다.
한미약품 우종수 사장은 “4제 복합신약 허가는 아모잘탄패밀리 라인업 확장이란 의미와 함께, 한국 제제기술 경쟁력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복합신약 성공이 혁신신약 개발로 이어지는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의학신문
권세창 한미약품 신약 개발부문 총괄 대표이사 사장이 누구도 정복하지 못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치료제 개발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글로벌제약사도 개발에 실패할 정도로 힘든 과제이지만 안전성이 높은 약물이 탑재됐고 다양한 작용에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한미약품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치료제 개발에 최초로 성공할 수도 있다는 기대도 받는다.
권세창 한미약품 신약 개발부문 총괄 대표이사 사장
16일 한미약품에 따르면 최근 미국간학회와 유럽간학회에서 잇따라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치료제 'HM15211'의 긍정적 임상결과가 발표되자 세계 제약업계의 관심이 뜨거워지고 있다.
권세창 대표는 이에 앞서 8월 글로벌제약사 MSD에 ‘HM12525A(에피노페그듀타이드)’를 기존 당뇨병 치료제가 아닌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치료제로 기술수출한 만큼 유사한 기전을 보유한 HM15211에서도 성공적으로 임상2상을 마칠 수 있을 것으로 바라보고 있다.
HM12525A는 인슐린 분비 및 식욕억제를 돕는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과 에너지대사량을 증가시키는 글루카곤 수용체를 동시에 활성화하는 이중작용 치료제다. HM15211는 여기에 인슐린 분비 및 항염증 작용을 하는 GIP 수용체가 추가된 이중작용 치료제다.
최근 두 치료제에 공통으로 포함된 'GLP-1'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확인되면서 HM12525A과 HM15211이 주목받고 있다.
여기에 GLP-1은 이미 비만과 제2형 당뇨병 치료제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약물이기 때문에 안전성은 충분히 확보된 만큼 권 대표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치료효능 입증에 전념하고 있다.
권 대표는 “HM15211가 최근 글로벌 최대 규모의 미국과 유럽학회에서 간 전문가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만큼 조속한 상용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HM15211은 올해 3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원발 담즙성 담관염 및 원발 경화성 담관염을 대상으로 각각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받고 7월에는 신속심사 처리대상(패스트트랙)으로 지정되는 등 가치가 한층 높아졌다.
미국 식품의약국의 희귀의약품 지정제도는 희귀난치성 질병의 치료제 개발과 허가가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제약사를 지원하는 제도다.
원활한 임상시험 진행을 위한 임상시험 승인 및 허가기간 단축, 품목허가 신청비용 면제, 세금감면, 품목허가 획득 이후 미국시장 내 7년 동안 독점권 부여 등의 혜택이 부여된다.
스위스 은행인 크레디트스위스는 세계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치료제시장이 2030년에는 200억 달러(22조 원) 수준에 이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미국국립보건원(NIH)은 미국 성인의 12%인 약 3천만 명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국내 환자 수도 2015년 26만 명에서 2019년 41만 명 수준으로 점차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아직까지 개발완료된 치료제가 없어 유한양행, LG화학, 동아에스티 등 국내 제약사 뿐만 아니라 많은 글로벌 제약사들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치료제 개발에 뛰어들었다.
하지만 길리어드사이언스, 베링거인겔하임 등 글로벌 제약사들이 2019년에만 7차례나 주요평가지표를 달성하지 못하거나 안전성 문제로 임상2상과 3상 단계에서 중단했을 정도로 치료제 개발은 쉽지 않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증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다양한 증상에 대응하는 치료제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충분한 치료효능을 내는 것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다국적제약사 화이자는 최근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치료제 ‘PF-05221304’의 임상2a상에서 긍정적 결과를 얻었음에도 추가적 임상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화이자 관계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치료제 개발을 포기하는 것은 아니다”며 “PF-05221304 단독요법보다 더 효과적으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치료할 것으로 기대되는 다른 치료제와의 병용요법을 비롯해 개발 가능성이 더 높다고 판단되는 3~4개 가량의 다른 후보물질의 개발에 집중하기 위해서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출처: 비즈니스포스트
한미가족 여러분,
오늘 우리는 대한민국 제약바이오산업의 거인이셨던,
임성기 회장님께서 떠나시는 마지막 길에 함께 하고 있습니다.
아직도 하실 일이 참 많으신데
글로벌 신약은 아직 꽃도 피우지 못했는데
무엇이 그리 바쁘셔서 이리 황망히 떠나가신단 말입니까?
회장님은 평소 일에 있어서는 엄격하고 완벽을 추구하셨지만
인간적으로는 너무도 따뜻하고 다정다감한 분이셨습니다.
그래서 더더욱 지금의 이 상황이 믿겨지지가 않습니다.
위기의 순간 마다 특유의 창조적 해법으로,
우리를 이끌어 주신 회장님을 이렇게 보내드려야 한다는 것도 도무지 믿기지 않습니다.
정말로 참담하고 애석한 심정을 억누를 길이 없습니다.
회장님께 마지막 인사를 드리는 지금 이 시간,
우리들에게 이 시간은 그동안 너무나 소중한 일상이었습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티미팅 시간이면,
회장님과 무릎을 맞대고 앉아,
제약강국을 향한 회장님의 그 뜨거운 열정을 함께 나누었습니다.
당신 일생의 꿈이셨던 글로벌 신약개발과 제약강국을
열정적으로 말씀하시던
회장님의 카랑카랑한 목소리가 아직도 들려오는 것 같습니다.
본사, 연구센터, 팔탄공단, 평택공단 등 사업장들,
R&D와 국내 및 해외영업,
북경한미, 정밀화학, 온라인팜, 제이브이엠 등 계열사들까지
하나하나 직접 챙겨 나가시던 회장님의 열정적인 모습들이
아직도 눈에 선합니다.
회장님과 함께 한미약품과 대한민국 제약바이오산업의
역사를 써 내려간 이 아침은,
이제 이 자리에 남아있는 우리들의 시간이 되었습니다.
남들과 똑같은 방식으로 일하기를 단호히 거부하셨던 당신,
누군가 만든 넓은 길 보다는,
아무도 가지 않은 좁은 길을 먼저 찾아 개척하신 당신,
“신약개발을 하지 않는 제약기업은 죽은 기업”이라
힘주어 말씀하셨던 회장님의 그 모든 업적과 철학을
우리는 결코 잊지 않을 것입니다.
창조..., 혁신..., 도전..., 제약강국..., 글로벌 신약 창출...,
인간존중..., 가치창조...
회장님 떠나시는 마지막 길에 놓여진,
회장님의 유훈을 무거운 마음으로 받아 듭니다.
작은 약국에서 꿈 꾸셨던 회장님의 그 꿈은,
이제 오롯이 여기에 남은 우리 한미가족 모두와,
제약바이오 산업에 종사하는 모든 사람들의 꿈이 되었습니다.
회장님의 큰 꿈을 한국 제약바이오 산업 역사에 아로새기고,
아시아의 스위스, 제약강국 대한민국을 염원하셨던 그 뜻을
여기 남은 우리들이 반드시 이루어 내겠습니다.
평생 무겁게 짊어 지셨던, 제약강국의 꿈을,
이제 이곳에 남겨진 저희에게 맡겨 주십시오.
회장님의 꿈을 향해 내달리는 저희들을 힘껏 응원해 주십시오.
제약강국을 향한 회장님의 꿈, 우리가 반드시 이루어 내겠습니다.
회장님!
이제 모든 근심 걱정 내려 놓으시고
영원한 안식처에서 편안히 잠드시기를 기원합니다.
회장님과 함께할 수 있어서 너무도 행복했습니다.
회장님! 감사합니다.
2020년 8월 6일
한미약품 임직원을 대표하여
부회장 이관순 드림
회장님!
‘후회막급’이라는 표현이 이렇듯 절절한 느낌으로 제 가슴을 때릴 줄 몰랐습니다.
회장님께서 영면의 길에 접어든 그 시각, 회장님의 소천을 알리는 전화를 받던 그 순간, 그래서 저의 억장이 무너져 도저히 잠 못 이루던 그날 밤
구슬픈 비바람과 천둥소리로 가득 채운 깜깜한 창밖을 바라보며 회장님을 일찍 찾아뵙지 못한 저 자신을 얼마나 탓 했는지 모릅니다.
얼마 전 까지 만해도 안 좋으셨던 건강이 꽤 호전되셨다 하여 “조만간 뵙겠지..”하는 안일한 마음으로 바쁜 일정 핑계 삼아 회장님 안부만 전해 들으며 몇 달을 스쳐 보냈습니다.
약사로서도, 제약바이오협회 회장직으로서도 저의 영원한 멘토이신 대선배님을 뵈올 수 있는 시간이 아직도 많이 남았다고 생각한 저의 어리석은 처신을 이제와 후회한들 그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존경하는 고 임성기 회장님.
회장님께 송구스럽기만 한, 지금의 제 복잡한 마음과 머리를 헤집고 갑자기 지나 간 일들이 새삼 떠오릅니다.
“이 결정이 고난의 시기를 함께 이겨낸 한미약품그룹 임직원들에게 조금이나마 위로가 됐으면 한다.”
2016년 회장님께서 2800명의 한미약품 직원들에게 1100억 원 가량의 주식을 무상증여 하시면서 이렇듯 어느 매체를 통하여 언급하신 한 줄의 말씀이 기억납니다.
‘나눔과 베품’이란, 진정한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정신, 그리고 생명존중의 제약기업의 이념을 실천에 옮기신 회장님을 바라보며 진정한 ‘약업계의 거목’이라 여기며 그 기사를 읽어 내려갔었습니다.
그런 회장님께서는, 선배님께서는, 제게도 힘들 때마다 힘을 주셨습니다.
젊은 나이에 대한약사회장에 올라 처음 선배님을 뵈러 갔을 때 “원 회장은 잘 할거야.
하는 일 열심히 응원하고 밀어주지”라며 다정하고 호기롭게 말씀하셨고 또 그 말씀이 단 한 번도 허언에 그치지 않게 하셨던 회장님이셨습니다.
제게 가장 당신이 사랑하는 약사후배의 자리를 선뜻 내어 주셨고, 때로는 저의 무례한 응석까지도 받아 주셨던 다감하신 선배님이셨습니다.
‘대한민국은 반드시 제약강국, 신약강국이 될 수 있다’는 신념으로 유수의 글로벌 제약기업들에게 천문학적 금액의 신약개발 기술을 수출하는 위상으로까지 한미약품의 성장을 일군 임성기 회장님. 그런 선배님께서는 제가 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을 맡기 전부터 저의 롤 모델이셨습니다. 그런 인생의 대선배님을 잃은 저의 슬픔은 먹먹함을 넘어서 기댈 언덕이 사라진 막막함이 되어 한참이나 넋을 잃게 만들었습니다.
당신의 가시는 길에 협회장도, 회사장도 모두 마다하시고 가족장으로 조용히 장례를 치루어 달라는, 마지막 당부의 말씀을 남기신 회장님.
그런 당신의 소박함이 다시한번 저희를 숙연케 한 것도 임성기 회장님 다우신 결정이 아니었나 생각됩니다.
회장님께서는 22년 약국경륜을 밑거름으로 글로벌 제약인 으로서의 찬연한 명성을 일구며 한미약품을 넘어 대한민국 제약 산업의 성장 동력을 만드신, ‘체구는 작지만 꿈은 위대한 거인’ 이셨습니다.
당신의 천명은 요즘 세월에 비춰보면 짧다할 수 있는 향년 80에 그쳤지만 당신께 주어진 하늘의 계시를 담은, 또 다른 당신의 천명은 이미 하늘마저 그 소임을 온전히 완수하였음을 인정하고도 남음이 있을 것입니다.
우리의 먼 미래를 밝힐 횃불처럼, 저 하늘의 큰 별이 되셨으니까요.
회장님의 걸음 하나하나가 이제 대한민국 의약품 제조사에 한 획을 긋는 역사가 되었으니까요.
존경하는 임성기 회장님!
회장님께서는 아직도 이 땅에서 이루지 못한 일들이 많으실 겁니다.
그러나 저 하늘나라에서, 더 많은 모습들을 굽어 살피시리라 믿습니다.
사랑스러운 회장님 가족의 행복한 앞날의 모습은 말할 나위없고 전 세계로 뻗어나가는 한미약품의 자랑스러운 모습 그리고 우리나라 제약 산업의 눈부신 영광과 이를 뒷받침 할 제약바이오협회의 성장과 발전의 모습을 말입니다.
이제 쉴 틈 없이 달려오신 그 걸음, 그 가쁜 숨 내려놓으시고 좋은 곳에서 편히 영면에 드실 것을 기원합니다.
회장님께서 저와 마주하실 때 면 늘 편안하고 온화한 ‘파안대소’의 얼굴로 대 하셨듯이, 저 역시 눈물로 회장님을 보내드리는 나약함일랑 잠시 접어 두고자 합니다.
하여, 마치 선배님께 안부 전화를 드린 예의 그날처럼, 평소와 다름없이 인사를 올리고자 합니다.
선배님, 밤이 깊었습니다.
그만 안녕히 주무십시오.
또 연락드리겠습니다.
2020년 8월 5일
회장님을 존경하는 후배
원 희 목 올림
임종윤 한미사이언스 대표가 한미약품그룹의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청사진 마련에 앞장서고 있다. 임 대표는 최근 임원회의에서 한미사이언스의 6대 비전을 제시하면서 변화와 혁신을 강조했다. 혁신 없이는 성장도 불가능하다는 철학으로 한미약품그룹을 글로벌 바이오 기업으로 도약시키겠다는 목표를 내세웠다.
특히 임 대표는 기존의 호봉제 성격의 인사제도를 바꾸고 성과를 내는 직원들에게 100% 연봉 인상을 약속하는 등 사기 진작에도 나섰다. 최근 주력 계열사인 한미약품의 기술수출 무산이 잇따르는 등 불확실성이 커진 데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그룹 차원에서 분위기 쇄신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해석된다.
임 대표는 임성기 회장의 장남으로 지난 2016년부터 한미사이언스의 단독 대표를 맡고 있다. 한미약품그룹은 지주사인 한미사이언스를 중심으로 한미약품, 제이브이엠 등의 계열사를 두고 있다. 한미약품의 경우 전문경영인인 우종수•권세창 대표가 경영을 맡고 있지만 그룹의 정점에 있는 한미사이언스는 임 대표가 이끌고 있다.
17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임 대표는 최근 티 타임 임원회의에서 사이버 교육, 디지털 바이오, 오럴 바이오, 시티 바이오, 그린 바이오, 마린 바이오 등 6대 비전 사업 과제를 제시했다.
사이버 교육 사업에서는 K-바이오, K-메드(Med) 전문대학원 설립, 외국인 전문가 5000여 명 유치 등을 내세웠다. 글로벌 바이오•의료 선두 대학과의 협력을 통한 사이버 산학 협력 아카데미를 출범하는 등 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한 미래 혁신 사업 리더를 배출하겠다는 계획이다. 앞서 임 대표는 지난 2017년 이탈리아 로마 가톨릭 의대, 제멜리 종합병원과 한국•이탈리아의 공공의료를 위한 공동연구 협약을 시작으로 저출산, 신생아 건강, 산후 관리 등의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한 바 있다. 글로벌 네트워킹을 통해 국제 사이버 교육 기반을 완성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디지털 바이오 사업에서는 지난 20년간 전자 유통망 관리 시스템과 무인 처방 시스템, 병원정보시스템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차세대 혁신 의료 인프라 시스템을 공개할 계획이다. 오럴 바이오 사업에서는 경구용 바이오 신약 사업을 주도할 방침이다. 컨설팅업체인 CMI에 따르면 글로벌 경구 바이오 시장은 2018년 약 1조원 규모에서 2026년 9조5000억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어서다. 특히 코로나19 치료제로서 오라스커버리 기술을 담은 경구용 백신을 개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스마트 헬스케어 시티 조성에도 앞장설 계획이다. 한미사이언스는 경상북도 포항시, 대구 경북 경제 자유 구역청과 3000억원 규모의 바이오 메디컬 스마트 시티를 위한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식물 생명공학 기술을 적용하는 등 그린 바이오 사업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한미사이언스는 중국 농업 과학원 류더후 교수팀과 그린 신약 개발에 착수했는데, 이 계약을 체결하기 위해서 임 대표의 역할도 컸다. 임 대표는 세 차례 이상 중국을 방문하면서 관련 기술에 대한 시장성을 검토하고 중국농업과학원과 개발 로드맵을 논의하면서 적극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해양 미생물 등 바다에서 미래 비전 사업을 찾는 마린 바이오에도 출사표를 던졌다.
임 대표가 제시한 6대 비전의 현실화는 단기간에 이뤄지기 힘든 부분이다. 업계에서는 앞서 임 대표가 중국에서 북경한미약품의 성장을 이끄는 등 능력을 입증했던 만큼 한미약품그룹의 행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다. 실제 임 대표는 지난 2004년부터 북경한미에 합류한 이후 북경한미의 성장을 견인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임 대표의 대표적인 성공사례는 현재 북경한미의 대표 브랜드로 꼽히는 아동 유산균 정장제인 ‘마미아이’다. 마미아이는 지난 2014년 중국 정부로부터 ‘중국유명상표’를 획득하는 성과를 거뒀다. 2004년 167억원 규모였던 북경한미의 연간 매출은 지난해 2544억원까지 성장했다.
한미약품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한미약품그룹의 거시적 목표와 변화, 의지를 대내외적으로 선포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출처: 아시아투데이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원희목)는 12일 오전 서울 방배동 제약회관에서 제2차 이사장단 회의를 열고 이관순 한미약품 부회장을 임기 2년의 제14대 이사장으로 임명했다고 밝혔다.
이 부회장은 1984년 서울대 화학교육과를 졸업, 한미약품에 연구원으로 입사한 후 연구소장, 전무이사, 대표이사 등을 역임했다. 한미약품의 연구개발을 진두지휘 하면서 기술수출 성과를 이뤄내는 등 한국 제약바이오산업계의 신약개발 역량을 한 단계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사장단은 이사장 선임 후 장병원 초대 식품의약품안전청장을 상근 부회장 후보로 추천했다. 장 전 청장은 오는 18일 개최되는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제1차 이사회에서 선임 절차를 밟으면 임기가 만료된 갈원일 상근 부회장을 대신해 상근 부회장으로 활동하게 된다.
이와 함께 이사장단은 '우한 폐렴(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으로 오는 25일 열기로 한 제75회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정기총회를 서면총회로 대체하기로 결정했으며 인공지능신약개발지원센터를 재단법인 한국인공지능신약개발지원재단(가칭)으로 전환하기 위한 안건을 이사회에 상정키로 했다.
출처: 글로벌이코노믹
한미약품그룹이 제약바이오 산업의 양축을 담당하는 협회를 석권했다.
작년 1월 한미약품그룹의 지주회사 한미사이언스 임종윤 대표(48)가 한국바이오협회 이사장으로 선임된 데 이어, 한미약품 이관순 부회장(61)이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이사장직까지 석권했다.
12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이사장단 회의를 통해 이관순 부회장을 차기 14대 이사장으로 선출했다. 임기는 2년이다. 이 부회장은 그동안 한미약품의 연구개발을 진두지휘하면서 기술수출 성과를 이뤄내는 등 한국 산업계의 신약개발 역량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 인물이다.
제약바이오협회는 200여개 회원사를 둔 명실공히 제약바이오 산업 최대 협회다. 최근 몇 년 간 바이오 업체들이 회원사로 진입했지만, 원래 전통 제약사를 기반으로 성장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의 업무 협력이 많은 한국바이오협회와 달리,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와의 정책 협의 사안이 많다. 약가인하, 의약품 허가 등 민감한 정책 관련 복지부•식약처와 협상 테이블을 만드는 곳이 제약바이오협회다. 이 중에서도 이사장은 제약기업 이사장제로 운영되는 이 협회의 수장이자,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앞서 임종윤 한미사이언스 대표(48)는 작년 1월 한국바이오협회 이사장에 선임됐다. 내년 1월까지 임기 2년의 이사장직을 수행 중이다. 물론 연임 가능하다.
300여개 회원사를 둔 바이오협회는 제약바이오협회와 달리 바이오벤처나 스타트업의 중심축이라고 할 수 있다. 정부부처 중에선 산업통상자원부와의 연결고리가 많다. 다양한 정책을 협의하거나 산자부의 지원을 받고 있다. 복지부와는 유전체 분석 산업의 규제 완화 등에 대한 많은 정책 협의를 한다.
특히 오픈이노베이션의 장이기도 하다. 다양한 규모의 벤처가 회원사로 등록돼 있어 매우 초기 단계의 신약 후보물질에 대한 정보까지 교류된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한미약품 입장에선 초기 단계의 후보물질에 대한 정보까지 교류돼 오픈이노베이션에 적합한 바이오협회와 사실상 의약품 정책의 핵심 축 역할을 하는 제약바이오협회를 모두 석권하는 것은 좋은 일”이라고 말했다.
출처: 뉴시스
임종윤 한미사이언스 대표가 한미약품그룹의 신성장 동력을 찾기 위해 최근 중국 굴지의 기업들을 찾아 사업 협력을 논의했다. 이 달 초엔 이탈리아 최대 의료기관에도 방문하는 등 기존 신약개발 틀을 벗어난 맞춤형 치료와 건강검진 시스템 확대로까지 사업 저변을 넓히기 위한 초석을 마련했다. 그룹 지주사 수장인 임 대표는 임성기 한미약품그룹 창업주의 장남으로, 지난 2015~2016년 잇단 기술수출 성과를 낸 한미약품의 제2막을 열겠다는 의지다.
임 대표의 행보는 그 동안 신약개발에 따른 일부 기술수출 반환과 변동으로 제기된 시장의 불확실성을 미래가치 선점으로 확실히 잠재우겠다는 의지로도 해석된다. 실제 한미약품의 파트너사 다국적제약사 사노피는 지난 10일 한미약품의 당뇨병 신약 ‘에페글레나타이드’ 임상3상은 완주하되, 판매회사를 새로 알아보겠다고 발표했다. 한미약품이 받기로 한 기술료(마일스톤) 등 계약이 바뀌는 것은 아니지만, 기존 계획과 달리 판매사 변동이 발생하면서 시장의 불필요한 오해가 발생했다.
17일 임종윤 대표는 <뉴스1>과 전화통화에서 “사노피의 새 수장 폴 허드슨 사장의 조직 개편과 변화를 존중한다”면서도 “한미약품은 에페글레나타이드와 별개로 항암과 맞춤형 치료, 희귀•난치질환, 대사증후군 등 여러 영역에서 자체 신약 개발 파이프라인을 가동 중으로 사업부문 재구성, 조직 개편, 인재영입 등을 통해 고삐를 다시 죌 것”이라고 밝혔다.
◇이 달 중국 기업 3곳 만나 협력 논의 또는 계약임 대표는 한미약품그룹의 글로벌 사업확대를 위한 전초지로 우선 중국을 선택했다.
한미약품에 따르면, 임 대표는 이달 초 중국 최대 바이오기업인 우시앱텍과 중국내 최대 유통사 구주통 그리고 중국 최대 검진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는 아이캉그룹 등을 만나 전략적 파트너십을 논의했다.
임 대표는 우시앱텍 설립자인 리거 박사와 전략파트 담당자 장웨이 부사장을 만나 두 회사간 신약 공동개발 또는 기술이전 등을 통한 유럽과 미국시장 진출 방안에 대해 얘기를 나눴다.
우시앱텍은 위탁생산(CMO) 자회사 우시바이오로직스를 포함해 상해와 홍콩 증권시장에서 75조원대 시가총액을 형성하고 있는 기업이다. 글로벌 상위 20개 제약사를 포함, 전세계 3500개 기업을 고객사로 두고 있다.
임 대표는 지난 6일에는 중국내 유일한 온라인의약품 판매 플랫폼인 ‘호약사’를 계열사로 두고 있는 구주통과 북경한미약품 대표상품인 ‘마미아이’(어린이 유산균 정장제)의 온라인 판매 계약도 체결했다. 앞으로 ‘마미아이’ 맞춤형 디지털 패키지를 개발해 중국 전역으로 온라인 판매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 9일에는 중국 최대 검진네트워크를 구축한 아이캉그룹 설립자 장리강 회장과 만났다. 임 대표는 아이캉그룹과 건강증진, 예방, 디지털 검진시스템에 대한 공동협력 방안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이캉그룹은 중국내 건강관리 분야 최초의 상장사로 현지 민간 의료 건강관리서비스 시장에서 가장 규모가 큰 업체다. 잘 알려진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가 최대주주다. 현재 44개 도시 133개 체험 및 의료 센터를 두고 있으며, 중국 전역 200여 개 도시에서 720개 의료기관과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해 약 700만명의 가정 및 기업 임직원에 원스톱 건강검진과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미약품그룹 관계자는 “임 대표가 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맞춤형 헬스케어인 테라퓨어틱헬스서비스와 마찬가지로 아이캉그룹의 온라인 또는 앱 역시 환자 개인 건강상태를 상세히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돼 있다”며 “두 회사가 추구하는 가치가 일치해 이번 협력을 통한 시너지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탈리아 최대 의료기관과 검진센터 역할 확대, 맞춤형 치료 임상 추가임 대표는 지난 1일에는 이탈리아 로마로 건너가 이탈리아 최대 의료기관인 제멜리병원과 기존 산후조리원 형식을 벗어난 제멜리병원 VIP검진센터 역할 확대와 맞춤형 치료 기반의 임상연구 프로그램 추가 등을 합의했다. 또 이탈리아 롬바디아주에 위치한 카톨릭대학과 한국•중국•이탈리아간 식품, 복지 부문의 대학원 과정 플랫폼을 개설하기로 했다.
아울러 임 대표는 지난달 25일 경상북도, 포항시, 포항공대와 ‘바이오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바이오 분야 전문인력 육성 등을 골자로 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며 인재 육성에도 나섰다.
그룹 관계자는 “임종윤 지주사 대표는 당뇨병을 포함해 심혈관, 비만 등 모든 만성질환 그리고 전문 대사질환 관리를 위한 패러다임을 새롭게 짜고 있다”며 “이를 위해 세계 각 지역의 협력 브랜드를 구축하고 이를 판매할 파트너사를 찾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 “의약품 사업을 넘어 종합 헬스케어 기업으로 확장해 나가는데 임 대표가 선봉에서 그 역할을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dongA.com
한미약품에는 사장이 두 명이다. 우종수 경영관리부문 사장과 권세창 신약개발부문 사장이다. 개량신약 개발에 기여한 우 사장이 한미약품의 현재를 만들었다면 바이오신약 개발을 주도하는 권 사장은 미래를 만드는 사람이다. 권 사장이 손을 대는 신약 후보물질(파이프라인)마다 한미약품의 미래가 됐다. 이제는 이런 평가가 바뀌어야 할지도 모른다. 한미약품의 바이오신약 꿈이 현실화하고 있어서다. 미국 스펙트럼에 기술수출한 호중구감소증 치료제 롤론티스는 지난달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허가 절차에 들어갔다. 내년 말 허가를 받으면 한미약품이 개발한 신약이 미국에 진출하는 첫 사례가 된다. 권 사장은 “20여 년간 개발한 바이오신약이 드디어 결실을 보는 것”이라며 기대를 드러냈다.
신약 개발 꿈 안고 중소 제약사로 이직권 사장은 한미약품의 바이오 역사와 함께한 산증인이다. 그가 입사했던 1996년 한미약품은 중소 제약사에 불과했다. 연세대에서 생화학을 전공한 그는 석사 학위를 받고 1989년 SK케미칼 전신인 선경인더스트리의 생명공학팀장으로 입사했다. 선경인더스트리에서 7년차가 됐을 무렵 그는 대기업을 떠나 중소 제약사인 한미약품으로 자리를 옮겼다. 당시 한미약품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었다. 권 사장은 경기 성남시 판교에 있던 한미약품 연구센터를 방문하고 깜짝 놀랐다. “건물 외관은 허름했는데 내부는 완전히 달랐습니다. 최첨단 연구 설비를 갖추고 있었어요. 연구개발(R&D)에 공격적으로 투자하는 역동적인 조직이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이곳에서라면 제대로 신약 개발을 할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죠.”
실제로도 그랬다. 권 사장은 한미약품의 강점으로 도전적인 기업 문화를 꼽았다. “신약 개발은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과정입니다. 중요한 건 실패해도 손을 놓지 않고 다시 도전하는 것이죠. 도전에는 많은 리스크가 따릅니다. 한미약품은 실패하더라도 거기에 집착하지 않고 그다음에 무엇을 할 것인지 묻더군요. 그게 신약 개발의 원동력이 된 것 같습니다.”
권 사장이 합류한 뒤 한미약품은 본격적으로 바이오신약 개발에 뛰어들었다. 한미약품 연구센터 연구위원으로 입사한 그는 연구원 5명과 바이오팀을 꾸렸다. 당시 연구센터는 30여 명 규모였다. 바이오팀장을 맡은 그는 차별화된 신약 플랫폼 개발에 들어갔다. “한때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도 검토했지만 우리는 R&D 중심 회사라는 것을 항상 잊지 않았습니다. 설비 투자보다 기술에 투자하기로 결정한 것이죠.”
핵심 정보 공개로 위기 돌파이때부터 개발한 플랫폼이 랩스커버리다. 랩스커버리는 바이오 의약품의 약효 지속 시간을 늘려 투여 횟수와 투여량을 줄여 효능을 개선하는 기술이다. 권 사장은 10년 이상 연구해 탄생시킨 랩스커버리를 “자식과 같은 존재”라고 말했다. 이 플랫폼과 관련해 출원한 특허만 약 1500개에 달한다. FDA에 허가를 신청한 롤론티스는 최초로 랩스커버리가 적용된 단백질 의약품이다. 신약 허가를 신청하기까지 14년이 걸렸다. 권 사장은 “신약 개발은 오랜 시간 축적된 노하우와 기술력이 총집결된 종합 산물”이라며 “앞으로는 신약 개발의 양과 질뿐만 아니라 속도도 크게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약품의 공격적인 R&D는 국내 제약사에 두고두고 회자될 족적들을 남겼다. 2015년부터 2년 동안 일곱 건의 대형 신약 기술수출을 성사시켰다. 계약금과 단계별 마일리지는 8조원을 웃돌았다. 유례없는 성과였다. 국내에 바이오붐을 일으키는 촉매 역할을 했다. 하지만 축배는 오래가지 못했다. 2016년 9월 베링거인겔하임에 기술수출한 내성 표적 항암신약 올무티닙의 계약이 해지된 데다 늑장공시 논란에 휩싸인 것이다.
구원투수로 2017년 대표에 취임한 권 사장은 투명성과 신뢰를 높이는 데 집중했다. 그는 홈페이지를 전면 개편했다. 홈페이지에 신약 파이프라인과 연구개발 진행 상황을 실시간 공개했다. 제약바이오업계에서는 파격적인 일이었다. 글로벌 제약사들은 어떤 약물을 개발하고 있는지, 개발 단계가 어디까지 진척됐는지 세세하게 알리지 않는다. 경쟁사가 후속 약물 개발이나 출시 일정을 수정해 방해 공작을 펼칠 우려가 있어서다. 파이프라인이 회사의 경쟁력이자 전략인 셈이다. 권 사장은 이를 감추지 않고 오히려 노출시키는 방법을 택했다. 해외 제약사들과의 협업이 중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시장이 빠르게 바뀌고 있기 때문에 글로벌 트렌드를 선점한 약물만이 성공할 수 있습니다. 다국적 제약사들과 오픈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을 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R&D는 속도가 경쟁력”한미약품이 개발하던 지속형 인터페론은 길리어드의 경구용 인터페론이 나오면서 개발이 중단됐다. 주사제에서 먹는 약으로 트렌드가 바뀐 것을 알아차리지 못한 것이다. 권 사장은 “R&D는 속도가 경쟁력”이라는 걸 뼈저리게 깨달았다. “아무리 좋은 약도 타이밍을 놓치면 하루아침에 사라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개발 속도를 지체시키거나 걸림돌이 되는 부분은 과감하게 없앴습니다. 제가 성격이 급한 A형인데 아내가 A++형이라고 할 정도로 일을 빠르게 추진하려고 합니다.”
권 사장이 취임한 뒤에도 여러 차례 기술수출 계약이 해지되는 시련을 겪었다. 올해 릴리의 경구용 류머티즘 관절염 치료제 HM71224와 얀센의 비만•당뇨치료제 HM12525A의 권리를 반환받았다. 그는 “신약 개발을 하면서 거칠 수밖에 없는 과정”이라고 했다. “한미약품의 파이프라인은 같은 임무를 띤 비행 편대에 비유할 수 있어요. 한두 개 추락해도 멈춰설 수 없습니다. 결국 다 같이 가야 합니다.”
권 사장은 30여 개에 달하는 한미약품의 신약 파이프라인 R&D를 총괄하고 있다. 권 사장은 창립 50주년이 되는 2023년까지 2~3개의 글로벌 혁신신약(first-in-class)을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내년 글로벌 시장에 나가는 롤론티스가 블록버스터가 된다면 정말 보람될 것 같습니다. 한미약품이 실력을 인정받고 글로벌 신약 개발 회사로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드리고 싶습니다.”
■ 한미약품의 'R&D 경영'매년 매출의 15% 이상 투자
30여개 후보물질 임상 순항
한미약품은 한국 최초의 개량신약, 복합신약, 혁신신약을 탄생시켰다. 적극적인 연구개발(R&D) 투자를 통해 새로운 화두를 제시하며 한국 제약산업의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다.
최근 10년간 R&D 투자 금액은 1조원을 훌쩍 넘겼다. 해마다 매출의 15% 이상을 R&D에 투자해왔다. 지난해에는 매출 1조160억원의 19%인 1929억원을 R&D에 쏟아부었다. 올 들어서도 3분기까지 누적 R&D 투자액이 1544억원에 달한다.
한미약품은 매출 성장과 R&D 투자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자체 개발 제품을 통해 얻은 수익을 글로벌 혁신신약 개발에 투자하고 있다는 점에서다. 한미약품의 혁신신약 후보물질(파이프라인)은 30여 개다. 국내 제약업계에서 단일 기업으로 가장 많다.
개발 분야도 당뇨 비만 등 대사성 질환부터 항암, 희귀난치성질환, 자가면역질환까지 다양하다. 신약 파이프라인의 절반 이상은 사노피, 제넨텍, 테바, 스펙트럼, 아테넥스 등 글로벌 제약사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개발되고 있다. 한미약품은 랩스커버리를 비롯해 주사용 항암제를 경구용으로 전환하는 플랫폼 기술인 오라스커버리, 하나의 항체가 서로 다른 두 개의 타깃에 동시에 결합하는 차세대 이중항체 플랫폼 기술인 펜탐바디 등 독자 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를 통해 새로운 신약 후보물질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다.
경구용 항암 신약 오락솔은 유럽과 미국에서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됐고 랩스커버리 기술이 적용된 당뇨 신약 에페글레나타이드는 다섯 건의 글로벌 임상 3상이 동시에 진행 중이다. 권세창 한미약품 사장은 “30여 개 신약 후보물질의 글로벌 임상 연구가 동시다발적으로 순조롭게 이뤄지고 있다”며 “지속적인 R&D 투자 및 파트너사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질병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의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한경헬스
한미약품 그룹 계열사 코리(COREE)가 지난 15일, 중국의 가장 권위있는 의료기관인 북경협화병원(Peking Union Medical College Hospital)의 의학 재단과 함께 ‘대사성 질환 예방 전문 기금' 설립에 대한 협약식을 체결했다.
이 전문 기금의 설립은 대사성 질환과 선천적 결손증의 발생 확률을 낮추고, 산모와 아기의 안전과 건강 증진을 도모한다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북경협화병원 내 정원의학센터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북경협화의학재단 쟝위신(姜玉新) 이사장, 북경협화병원 산부인과 쉬링(徐苓) 교수, 프로젝트를 담당하는 마량쿤(马良坤) 책임교수와 코리의 임종윤 대표를 비롯한 임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번 ‘대사성 질환 예방 전문 기금 설립'을 통한 공동의 연구 결과는 산모와 신생아의 대사성 질환 발병 원리 연구와 예방과 치료, 그리고 유전적 관련성 연구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예정이다.
특히 그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고, 임신 중 약물치료가 불가능한 임신성 당뇨병(GDM,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에 대한 근원적인 치료와 연구를 중점의 과제로 두고 있다. 이번 공동 연구는 산모와 아이를 위한다는 점에서, 약을 쓰지 않는 임신성 당뇨병 치료에 대한 혁신 기술을 궁극의 과제로 정하고 있다.
코리와 북경협화병원은 산모와 신생아 영역의 모바일 의료 혁신 모델을 공동으로 기획하고, 중국인 산모와 어린이들을 위한 의료 빅데이터도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코리의 배경 뒤에 임종윤 대표가 견인했던 마미아이로 대표되는 '바이오 한류'의 주역 북경한미약품이 함께하고 있음은 이번 협약의 실질적인 기대 효과를 한층 밝게 조망하고 있다. 향후 코리와 한미사이언스, 북경한미약품으로 연결되는 의약품 생산과 임 대표가 역점을 두고 있는 맞춤형 테라피 등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것이라는 것이 업계의 전망이다.
이번 협약식에서 북경협화의학재단은 임종윤 대표에게 그간의 후원과 협력, 지속적인 연대에 감사한다는 의미에서 감사패를 전달했다. 한국바이오협회 이사장을 겸하고 있는 임종윤 대표는 “북경협화병원은 우리의 오픈 이노베이션에 가장 두터운 신뢰와 철학을 공유해왔다. 이런 공공의 연구 과제를 위한 기금 조성은 새로운 산학의 해법이며, 국경을 넘는 협력의 상징이 될 것이다. 오늘의 혁신 기술을 향한 협업이 어쩌면 약 없는 약. 디지털 메디슨의 첫번째 사례가 될 수도 있다”라며 감사패에 화답했다.
출처: 의학신문
한미사이언스 관계사 코리(Coree)가 생활습관 교정부터 질병 예측까지 가능한 자체 플랫폼 '라이프 인터벤션'의 미국 시장 진출을 추진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의료용 소프트웨어(SaMD•Software as Medical Device)로 품목허가를 받는 게 목표다.
다만 FDA 품목허가 신청까지 수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코리는 중국과 이탈리아에서 현지 병원들과 협업모델을 구축한데 이어 임상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해당 플랫폼의 고도화를 위해 인공지능(AI) 기술도 적용 중이다.
박상태 코리 미국법인장은 18일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제6회 차이나 헬스케어 서밋 2019'에서 <뉴스1>과 만나 이 같은 계획을 공개했다.
박상태 미국법인장은 "라이프 인터벤션은 개인에게 필요한 건강 및 라이프, 치료 서비스 등을 폭넓게 제공하는 맞춤형 플랫폼"이라며 "궁극적으로 미국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재 코리는 중국 북경협화병원과 손을 잡고 임상연구를 진행 중이다. 현지 산모를 대상으로 고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처방을 내린 뒤 신체 변화를 점검하는 방식이다. 그 결과, 일부 산모들은 혈당 수치가 조절되는 등 긍정적인 반응이 나왔다. 이탈리아에서는 로마 가톨릭대학교와 제멜리병원과 바이오뱅크 '마더 앤 차일드 앤 비욘드'를 설립해 운영 중이다.
코리는 이들 기관과 교류하며 다양한 인체 정보를 축적하는 바이오뱅크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바이오뱅크는 세포와 조직, 디엔에이(DNA) 등 인체 유래물에 대한 정보를 수집 및 보관, 분양하는 인체자원은행이다. 이 같은 정보를 대규모로 축적하고 핵심 정보를 추출하는 AI 기술을 확보하면 정밀의료에 한걸음 다가설 수 있다.
중국과 이탈리아에서 쌓은 데이터와 기술력은 향후 미국 시장에 진출하는 디딤돌이 될 것으로 코리는 기대하고 있다. 박상태 미국법인장은 "미국 서부에 전문센터인 테라퓨틱센터를 짓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며 "수년 후를 내다보고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라이프 인터벤션를 포함한 스마트 헬스케어 글로벌 시장은 매년 큰 폭으로 성장 중이다. 시장조사기관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2013년 608억달러(약 71조원) 규모인 글로벌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규모는 2020년 2333억달러(약 272조원)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스마트 헬스케어는 개인의 건강과 의료 정보, 기기, 플랫폼 등을 다루는 산업이다. 바이오기술(BT)와 정보기술(IT)을 융합한 의료 서비스다.
출처: News1
임종윤 한미사이언스 대표는 “현재 위기를 맞고 있는 K-바이오의 해답을 오픈이노베이션에서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한미약품그룹 지주회사 한미사이언스의 임종윤 대표이사는 11일 서울 삼성동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열린 ‘바이오 플러스 웰컴 리셉션’ 강연에서 이 같이 강조했다.
임 대표는 강연에서 “한미는 한국에서 글로벌 제약기업들과 파트너십을 가장 활발하게 맺은 기업으로 꼽힌다”며 “많은 관심을 받았던 한미약품의 오픈 이노베이션 사례는 사실 그 과정 속에 글로벌 제약사로부터의 거절과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엄청난 R&D 투자에 대한 부담, 그리고 프로젝트 성패에 달린 절박함이 묻은 성과”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오픈 이노베이션은 위기상황 속에서 '생존하기 위해' 기술을 공유하는 것“이라며 ”막연한 콜라보레이션이 아닌 ▲위기를 함께 탈출하고자 하는 강한 책임감과 헌신 ▲파트너사와의 협업 ▲프로젝트를 수행해 나가고자 하는 열정이 바탕이 될 때 성공적인 오픈 이노베이션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런 관점에서 보면 오픈 이노베이션은 생존을 위한 전략이고, 한미도 글로벌 제약바이오 시장에서 순전히 '살아남기 위해' 오픈 이노베이션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다"고 덧붙였다.
임 대표는 "최근 대한민국 각 지방에서 구축되고 있는 산업 클러스터에 매우 큰 기대를 갖고 있다”면서 “산업통상자원부와 광역 및 기초 지방자치단체들이 앞장서 혁신산업 육성 프로그램을 추진하는 것은 물론, 해외 기관들과도 활발한 산학연 연계를 추진하고 있는데, 이 때문에 지금이 K-바이오의 오픈 이노베이션을 가속화할 수 있는 매우 적절한 타이밍이라 본다"고 덧붙였다.
한미약품그룹 지주회사의 대표로서 그룹사의 미래 방향에 대한 자신의 생각도 내놨다. 임 대표는 “그룹 지주회사 대표로서 의약품뿐 아니라 맞춤형 건강관리를 통한 예방과 치료를 연결하는 ‘토털 헬스케어’ 영역에 그룹의 미래 가치가 달려 있다고 믿는다”며 “의약품을 통한 단순 치료를 넘어 병의 근원을 연구하고 예방법을 찾는 일, 치료에서부터 완전한 건강을 되찾는 일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영역에서 한미그룹의 미래 성장성과 잠재력을 찾아보고 있다”고 밝혔다.
출처: PAXNetnews
한미약품은 R&D 중심의 종합 제약회사다. 매출 1조원의 한국을 대표하는 제약사로 성장했다.
한미약품의 주력은 전문 의약품이지만 한미약품의 이름을 알린 것은 개량 신약이다. 특히 발기부전 치료제 시장에서 독보적인 처방 매출 1,2 위 제품이 '구구'와 '팔팔'이다. 팔팔은 비아그라(성분명 실데라필)의 제네릭(복제약)이며, 구구는 시알리스(성분명 타다라필)의 제네릭이다.
2012년 비아그라 특허 만료 직후 발매된 팔팔은 2013년 2분기에 비아그라를, 2015년 4분기에 시알리스를 넘어선 이후 국내 발기부전 치료제 시장에서 선두 자리를 놓치지 않고 있다. 2015년 9월 시알리스 특허 만료 이후 발매된 구구도 2016년부터 오리지널의약품인 시알리스 매출을 뛰어넘었다.
개량 신약이나 제너릭 제품도 고도의 기술과 연구 개발이 필요한 제품이다. 단순히 제품을 카피하는 것을 넘어 성능을 개량하고 효능을 높이는 데에도 각고의 기술이 필요하다.
의약품 제제 연구 전문가인 우종수 사장은 한미약품이 개량신약을 개발하는데 있어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우 사장이 개발한 대표적인 의약품으로 '로수젯'이 있다. 로수젯은 로수바스타틴과 에제티미브라는 각각의 고지혈증 치료 성분을 결합시킨 세계 최초의 고지혈증 치료 복합제다.
한미약품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선보인 전립선 비대증(성분명 탐스로신)과 발기부전(성분명 타다라필) 치료 복합제인 '구구탐스'도 우 사장의 작품이다. 2016년말 출시된 구구탐스는 두 개의 성분이 합쳐진 개량신약의 강점을 앞세워 빠르게 발기부전 치료제 시장을 잠식하며 지난해 처방 순위 10위권에 다가섰다. 발기부전 치료제 '구구'와 '팔팔' 역시 우 사장의 손을 거쳐 세상에 나왔다.
◇국내 대표 개량신약 개발 전문가
우종수 사장은 30여년 가까이 한미약품에서 근무하면서 개량신약 개발이라는 중책을 맡아 왔다. 이관순 부회장과 함께 퍼스트 제네릭에서 시작해 개량신약 및 복합신약으로 이어지는 '한국형 연구개발(R&D) 모델'을 구축하는데 기여했다. 한미약품이 신약 개발 전문 제약회사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하는 토대를 다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우 사장은 1990년 한미약품 제제연구실 팀장으로 입사했다. 2017년부터는 권세창 사장과 함께 한미약품 공동 대표를 맡으며 현재 회사 경영 관리 부문을 총괄하고 있다.
1967년생인 우종수 사장은 1990년 영남대 제약학과를 졸업하고 한미약품에 입사했다. 우 사장은 의약품 제제 기술 및 약물 전달 시스템 분야 한국 최고 전문가로 꼽힌다. 그는 한미약품에서 약물 개발의 콘셉트 결정 및 결합 성분이 각 성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일정하게 약물이 방출되고 흡수될 수 있는 제제 기술 개발과 상용화 등의 연구를 전담했다.
우 사장은 한미약품의 블록버스터 약물인 로수젯과 고혈압 복합 치료제 '아모잘탄(성분명 암로디핀+로사르탄)' 등 굵직한 제품의 상용화를 성공적으로 완수했다. 특히 '아모잘탄'은 국내 최초 개량신약으로, 우리나라 전문의약품 처방 매출 상위 10개 제품 중 유일한 국산약이기도 하다. 국내 개량신약 최초로 미국에서 시판 허가를 받은 역류성 식도염 치료제 '에소메졸' 역시 우 사장 작품이다.
우 사장은 한미약품의 두 번째 대형 의약품 기술수출 계약을 이끈 주역으로도 꼽힌다. 한미약품은 1997년 스위스 제약사 노바티스에 의약품의 흡수성을 크게 높인 마이크로에멀젼 기술을 수출했다. 총 계약 금액은 7400만달러로, 이는 당시 국내 제약업계 사상 최대 규모였다. 최근까지 노바티스로부터 수취한 금액이 누적 기준 1000억원대에 달한다.
◇대학교수로 한미 떠났지만 임성기 회장이 재차 러브콜
우 사장은 한미약품 창업자인 임성기 회장으로부터 두터운 신임을 받는다. 입사 14년만인 2004년 이사로 승진하며 임원 반열에 오른 우 사장은 3년 뒤 상무로 승진했다. 2007년부터 2008년까지 1년간 한미약품 상무로 재직하던 우 사장은 잠시 회사를 떠나 모교인 영남대 약학대학 교수로 자리를 옮겼다.
하지만 외도도 잠시, 임성기 회장의 부름을 받은 우 사장은 2009년 한미약품 팔탄공단 공장장으로 복귀했다. 이듬해인 2010년 전무로 승진한 우 사장은 등기임원에도 이름을 올리며 이사회 멤버가 됐다. 2012년 부사장으로 승진한 후 2017년 이관순 사장이 대표직에 물러나면서 권세창 사장과 함께 한미약품 공동 대표에 올랐다. 올해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재선임된 우 사장은 오는 2022년까지 대표를 맡았다.
우 사장은 팔탄공단 공장장으로 재직할 당시 한국 고형제(정제•캡슐 등 고체 상태의 알약) 생산 스마트 플랜트(공장)의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팔탄공단 스마트 플랜트 기획 단계부터 설계, 생산, 판매, 유통 등 전 과정에 이르기까지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팔탄공장을 국내 고형제 공장 중 가장 선진화된 플랜트로 구축하는데 성공했다.
우 사장은 또 대표로서 한미약품의 윤리 경영 문화 확산과 사회적 기여에도 집중하고 있다. 한미약품이 2017년 11월 국내 제약업계 최초로 부패 방지 경영시스템 국제 표준인 'ISO37001'을 도입하도록 했고, 지난해에는 업계 최다 금액인 약 50억원의 기부금을 조성하기도 했다.
한미약품 관계자는 "우 사장은 퍼스트 제네릭과 개량신약, 복합신약으로 이어지는 의약품 개발을 성공시키면서 '한국형 R&D 모델'의 토대를 세우는데 기여했을 뿐만 아니라, 회사의 R&D 투자 동력이 끊임없이 이어질 수 있도록 한 일등공신 중 한 명"이라며 "한미약품의 현재를 책임지고 있는 그가 경영 관리 부문 대표를 맡으면서는 회사의 내•외부적인 관리 및 대응 역량이 더욱 탄탄해졌다"고 강조했다.
출처: 더벨
2019년 기해년 황금 돼지해 창간 20주년을 맞아 CEONEWS가 '대한민국 리딩 TOP CEO'를 선정합니다. 이번 선정을 통해 국가 경제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는 CEO들의 명예와 자존감을 앙양하고 그들의 업적과 노고를 치하하고 CEO PI의 본보기로 삼고자 합니다.
임성기 한미약품 회장
신약개발에 평생을 바친 오너 CEO
임성기 한미약품 회장은 한미약품그룹의 오너이자 한미약품 지주회사인 한미사이언스 최대주주다. 임성기약국에서 시작해 임성기제약으로 기업을 설립한 뒤, 국내 최고의 신약 개발 제약사 한미약품을 만든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이제 그의 마지막 꿈은 한미약품이 글로벌 신약 개발사로 우뚝 서는 것이다.
◆ 생애
임성기 회장은 1940년 3월1일 경기도 김포에서 태어나 중앙대 약학과를 졸업한 뒤 서울 종로에 ‘임성기약국’을 열었다. 이 약국이 ‘임성기제약’으로 발전하고, 지금의 ‘한미약품’으로 성장하는 모태가 됐다.
임 회장은 한미약품을 설립했을 당시 특허가 만료된 오리지널 의약품을 복제한 일명 '제네릭'을 판매한 것이 회사 성장의 발판이 됐다.
그는 국내 제약업계 최초로 개량신약인 ‘아모디핀’, ‘아모잘탄’ 등을 선보였다. 임 회장의 신약 개발 의지는 곧 한미약품의 꾸준한 성장으로 이어졌다.
임 회장은 제약산업의 본질이 곧 ‘신뢰’라는 말로 경영철학을 대변한다.
◆ 경영활동의 공과
△신약 개발을 위한 뚝심 경영
임 회장은 한미약품의 경영방향을 신약개발 제약회사로 성장하는 것으로 잡았다.
지난 2018년 한미약품 창립 50주년 신년 메시지를 통해 2023년까지 세상이 깜짝 놀랄만한 일들을 해낼 것이라는 말로 신약 개발 의지를 재천명했다.
한미약품은 매년 연구개발(R&D)에 매출의 20%를 투자하며 신약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한미약품은 현재 24개의 혁신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하고 있다. 개발분야도 당뇨, 비만부터 항암, 자가면역질환까지 다양하다.
한미약품이 개발하고 있는 신약의 대부분은 사노피, 얀센, 제넨텍, 스펙트럼 등 다국적 제약사와 공동으로 개발하며 기술수출을 하고 있다.
한미약품의 신약 개발은 위기에도 놓였지만 임성기는 뚝심 경영으로 이를 정면돌파했다.
지난 2010년 정부가 제약업계 리베이트 단절을 위해 ‘리베이트 쌍벌제’를 도입했을 때, 의사들은 한미약품 때문에 처벌이 강해졌다는 의심을 했고, 한미약품의 매출 급감과 수익 악화로 이어졌다. 하지만 이 시기에도 신약 개발에 대한 열정은 식지 않았다.
2014년에는 급증한 연구개발(R&D)투자 규모로 회사가 휘청인다는 루머가 돌 때도 임 회장은 전체 임원들이 모인 자리에서 "많은 사람들이 회사를 걱정하고 있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며 "어려움도 있고 신약 개발의 위험성도 있지만 나를 믿고 연구개발에 더 매진해 달라. 연구개발을 하지 않는 제약회사는 죽은 기업이다"고 강조했다.
한미약품은 2015년 한 해 동안 글로벌 제약기업인 일라이릴리, 베링거인겔하임, 사노피, 얀센 등에 최대 8조 원 규모의 기술수출 계약을 성사시켰다. 신약 개발로는 국내 제약업계의 최정상으로 올라섰다.
△2세 경영 승계 준비
임 회장은 한미약품의 2세 경영권 승계를 준비하고 있다.
임 회장은 2남1녀를 뒀는데, 장남인 임종윤은 2016년3월 주주총회에서 임 회장이 비등기임원으로 물러나면서 단독대표가 됐다. 당시 임종윤 대표는 한미약품, 한미IT, 한미메디케어 이사를 맡고 있으며 북경한미(한미중국유한공사) 대표도 겸하고 있었다.
한미약품의 2세 경영 시대가 본격화됐다는 관측이 이 시기에 나왔다.
2018년 초 임 회장의 장녀 임주현 전무와 차남 임종훈 전무가 한미약품 부사장으로 각각 승진하면서 한미약품그룹의 경영권 승계가 마무리 작업으로 넘어간 것이라는 추측도 낳았다.
△일감 몰아주기 규제 벗어나기 위한 노력
지난 2018년 1월5일 한미사이언스 자회사인 한미IT와 손자회사인 한미메디케어는 합병을 발표했다. 존속법인은 한미메디케어다.
한미IT와 한미메디케어의 합병을 통해 내부 일감 몰아주기 비중을 낮췄다. 정부의 일감 몰아주기 규제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책이었다.
한미약품그룹은 자산 규모가 4조 원대라 아직 자산 5조 원 이상의 ‘공시대상기업집단(준대기업)’에 포함되지 않는다. 하지만 곧 5조 원대를 넘어설 것이라 전망되기에 준비를 해야 한다. 경영권 승계와 관련해서 결코 무시할 수 없는 과제이기 때문이다.
현재 공정거래법상 자산 5조원 이상의 대기업집단에서 비상장사는 총수 일가 지분이 20%이상이며 내부거래 금액이 200억 원을 넘거나 연 매출 12% 이상이면 총수일가의 사익편취규제 조사 대상에 해당한다.
△직원들에게 통 큰 주식 증여
임 회장은 지난 2016년 1월4일 스스로가 보유한 한미사이언스 주식 90만주를 한미약품그룹 직원 약 2800명에게 지급하겠다고 밝히며 화제의 주인공이 됐다. 이는 2015년 12월30일 종가(12만9천원)로 환산했을 때 모두 1100억 원에 이르는 규모였다.
한미약품그룹의 임직원들은 당시 월급의 1천%에 해당하는 금액을 주식으로 받게 됐는데 직원 1인당 약 4천만 원 수준이었다.
임 회장은 “지난 5년 동안 한미약품은 급격한 영업환경의 변화 등 위기상황을 힘겹게 헤쳐나왔다”며 “허리띠를 졸라매고 땀 흘려가며 큰 성취를 이룬 지금 그 주역이었던 한미약품그룹 모든 임직원들에게 고마움과 함께 마음의 빚을 느껴왔다”고 밝혀 주변을 놀라게 했다.
그는 “적자와 월급 동결 상황에서도 연구개발(R&D)에 투자할 수 있게 견뎌준 임직원들에 위로가 됐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임 회장의 주식 배분은 2017년 9월 모든 증여 절차가 완결 됐다.
△지주사 체제 구축
한미약품은 지난 2010년 3월 한미홀딩스와 한미약품으로 인적분할해 그룹을 지주사체제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그리고 그해 7월1일자로 지주사체제로 전환했다.
임 회장은 지주사체제 출범과 함께 장남인 임종윤과 함께 한미홀딩스 공동 대표이사가 됐다.
한미홀딩스는 2012년 3월 주주총회를 통해 회사이름을 한미홀딩스에서 한미사이언스로 변경했다.
◆ 비전과 과제
임성기 회장의 목표는 한미약품을 오롯이 글로벌 신약 개발회사로의 도약시키는 것이다.
그가 생각하는 롤모델은 미국 제약사 길리어드사이언스로 알려져 있다.
그는 “길리어드사이언스는 타미플루를 개발하고 로슈에 기술을 팔았다”며 “로열티를 받고 연구개발에 다시 투자해 결국 세계 10대 제약사로 성장했다”고 직접 언급한 적이 있다.
임 회장은 한미약품그룹 경영권 승계를 말썽 없이 마무리 짓는 것도 중요하다
한미약품 오너2세들은 한미메디케어 보유 지분을 이용해 지주사인 한미사이언스 지분을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한미약품은 ‘임성기’라는 이름 석 자를 빼면 설명할 수 없는 회사다. 그가 공들여 이루어낸 신약 개발은 오너의 뚝심이 이루어낸 성공 사례로 손색이 없다.
첫 사업이었던 약국도 ‘임성기’라는 이름을 그대로 붙였고, 의사들이나 입을 수 있다고 여겼던 흰 가운을 착용했으며, 성병 치료제를 취급한 것도 남다른 그의 신념 덕이었다.
국내 다른 제약회사들이 내수시장에만 매달릴 때 임 회장이 해외시장을 선점한 것도 글로벌 정세를 제대로 읽을 줄 아는 혜안 덕분이었다. 그런 그가 자신의 신념으로 이루어 낸 한미약품을 누구에게 어느 시기에 승계할 것인지 지켜보는 것도 중요한 일이다.
출처: CEONEWS
한국바이오협회 이사장으로 활동 중인 임종윤 한미사이언스 대표이사가 최근 '공매도 금지'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나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임 대표는 지난 13일 '공매도 금지법이 한국 바이오산업의 미래성장력을 지킬 수 있다'는 기고문을 한국바이오협회 홈페이지를 통해 게재했다.
임 대표는 이 기고문에서 "공매도의 순기능은 착시이며, 왜곡"이라며 "수많은 경제•정치 전문가들이 공매도의 순기능과 역기능을 동시에 말하지만 합법, 약속, 신용 계약의 빛에 가려진 그림자는 공매도의 오랜 역사만큼이나 다양한 방식과 새로운 상술로 큰 피해를 야기했다"고 운을 뗐다.
이어 임 대표는 공매도를 폐지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먼저 "우리는 합법적인 제도 아래에서 자행되는 '공매도'의 불법 투기 현상에 대해 그 위험을 제기하고 불법 행위를 행한 부정한 공매도 세력에 관해 엄격한 조사와 처벌이 필요하다"며 "주식 시장에서 공매도 세력에 의해 다수 피해자가 겪고 있는 유형은 1930년대 대공황 시대의 현상과 흡사하다"고 지적했다.
“공매도 순기능은 착시•왜곡…한국 바이오산업 미래 성장력 ‘공매도 금지법’에 달려”
특히 임 대표는 "세계 5위 수준의 제약• 연구 규모와 인프라를 갖춘 한국 바이오산업의 성장과 발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매도 금지법 가동과 함께 부정한 공매도 세력에 관한 정밀한 조사와 처벌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임 대표는 "공매도는 순기능을 가진다는 명목 아래 무형의 화폐처럼 주가를 임의로 조직할 수 있게끔 보장되고 있다"며 "시장 질서를 교란시키고 주가 조작과 같은 불법이 발견됐을 시에는 엄격한 처벌이 동시에 진행되기를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임 대표는 "공매도 금지는 경제 민주화의 가장 절실한 조치이자 대한민국이 투명하고 깨끗하고 자주적인 금융 강국으로 거듭날 기회"라며 공매도 폐지에 대해 목소리를 높였다.
통상 '공매도'는 글자 뜻 그대로 '없는 것을 판다'는 의미로 개인 혹은 단체가 주식, 채권 등을 보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매도 주문을 내는 행위를 말한다. 주문을 낸 뒤에는 공매도 세력이 주가하락이 예상되는 시점에 싼 가격으로 주식을 사들여 시세 차익을 얻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시장을 교란시킨다.
현재 국내 주식시장에서는 원칙적으로 공매도가 허용되지 않는다. 다만 증권시장의 안정성과 공정한 가격형성을 위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법에 따르면 가능하다. 여기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법이란 차입공매도일 것, 거래소 업무규정에 따라 정하는 가격을 적용할 것(업틱룰, up-tick rule), 해당 매도 주문이 일반매도인지 공매도인지 여부를 표시할 것, 투자중개업자는 투자자로부터 해당 주문이 결제 가능한지 확인할 것, 상장주식을 공매도한 경우 공매도 잔액을 금융위원회와 한국거래소에 보고할 것 등이다.
출처: Insight Korea